티스토리 뷰

Programming Language/JPA

JPA Study

tongnamuu 2021. 6. 26. 02:54

목표

1. 객체와 테이블을 제대로 설계하고 매핑하는 방법

  • 기본 키와 외래 키 매핑
  • 1:N
  • N:1
  • 1;1
  • N:M

2. JPA 내부 동작 방식 이해

  • JPA가 어떤 SQl을 생성하는가?
  • JPA가 언제 SQL을 실행하는가?

3. JPA와 모던 자바 데이터 저장 기술

  • SQL 중심 개발의 문제점
    • 객체를 관계형 DB에 관리, SQL
    • Object를 RDB NoSQL File 에 저장해야 한다
    • 객체 - SQL변환 - SQL - RDB
    •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차이
      • 상속: 객체상속관계 vs Table 슈퍼타입 서브타입 관계
        • Item - ChildItem
        • 상속관계의 각각의 테이블에 따른 join SQL 생성해야 함
        • 각각의 객체 생성이 필요
        • 따라서 DB에 저장할 때는 상속관계를 쓰지 않음
        • 하지만 자바 collection에 저장한다면?
      • 연관관계: 객체는참조(한 방향) vs 테이블은 외래키(JOIN ON)(양방향)
        • 객체를 테이블에 맞춰서 모델링해서 저장
        • 조회할때는?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에서 모든 데이터를 가져와서 연관관계(fk)를 설정해줘야함
        • 엔티티 신뢰성문제가 발생, 상황에 따라 동일한 회원 조회 메서드를 여러개 생성
      • 데이터 타입
      • 데이터 식별 방법
        • sql로 값을 반환 한 후 new Member로 반환시 id가 같아도 서로 다른 객체로 인식
        • 자바컬렉션으로 id를 가지고 조회시 같은 객체로 인식할 수 있다.
  • JPA 소개

'Programming Language > JP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PA 프로젝트 시작하기  (0) 2021.07.1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